저는 외국의 솔루션을 한글화 작업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디지문 호스팅에서 innoDB를 사용하시더군요!~~
innoDB 용 블로그를 함 테스트 해보고 싶었는데...
한글화 작업이다보니.. 앞글처럼.. 해놓고도 한글깨짐으로 인해 문제가 될까 걱정이군요..
일단 해보는데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nodb 공부할 기회가 생긴거 같네요...^^
아 그리고 웹메일 강좌는 잘 완성되셨는지요... 예전에 참 여러 웹메일을 구동해보신 운영자님께..
질문도 한적이 있었는데.. 정말 궁금한게 많네요..
innoDB가 뭔지, MyISAM이 뭐지 정확히 개념도 잘 알지 못합니다. ㅎㅎ
웹메일은 센드메일이나 큐메일과 같은 MTA에 옷을 입혀 주는 것에 불과하죠.
소스 배포본에 포함된 readme 파일을 열어 보면 설치 방법이 영문으로 자세히 나와 있으므로 그냥 따라하면 간단히 구현 가능합니다.
중요한 건 MTA 설치 방법과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건데... 메일서버 쪽 공부가 네트워크, DNS와 연계되는 부분이 많아 하위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진도 나가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