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보드가 필요치 않은 분들도 계실텐데 일괄적으로 계정 세팅과 동시에 제로보드를 올려 놓게 되면 필요치 않은 분들은 그걸 또 삭제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되겠죠. 그렇다고 입주자 분들께 무슨무슨 프로그램을 올려드려야 되냐고 일일이 물어보자니 이것도 번거롭죠. 참고로 계정 세팅 시 제가 하는 작업들을 열거해 드리죠.
1. 계정 아이디 발급 및 계정 디렉토리 생성, 패스워드 설정, DB 관련 설정, 2차 도메인 설정 (그나마 이 과정들도 기본 명령어로 하자면 더 번거롭습니다. 자동화 스크립트를 통해 엔터키 한방으로 가능하게 절차를 간소화시킨 겁니다.)
2. 계정 디렉토리 소유권 및 허가권(퍼미션) 수정 작업
3. 계정 데이터 사용량 제한
4. 호스팅 홈페이지 로그인 계정 '일반회원'에서 '입주자'로 권한 상승
5. 계정 신청 게시물에 계정 세팅 완료되었다는 댓글 남기기
6. 홈페이지 하단의 입주자 주소록 메뉴로 들어가 리스트에 입주자 도메인 추가
이 정도의 작업을 제가 직접 다 해야 합니다. 계정 세팅 작업이 엔터키 한 방에 그리 간편하게 이뤄지는 것도 아닙니다. 서버 관리자의 입장을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제로보드가 필요치 않은 분들도 계실텐데 일괄적으로 계정 세팅과 동시에 제로보드를 올려 놓게 되면 필요치 않은 분들은 그걸 또 삭제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되겠죠.
그렇다고 입주자 분들께 무슨무슨 프로그램을 올려드려야 되냐고 일일이 물어보자니 이것도 번거롭죠.
참고로 계정 세팅 시 제가 하는 작업들을 열거해 드리죠.
1. 계정 아이디 발급 및 계정 디렉토리 생성, 패스워드 설정, DB 관련 설정, 2차 도메인 설정
(그나마 이 과정들도 기본 명령어로 하자면 더 번거롭습니다. 자동화 스크립트를 통해 엔터키 한방으로 가능하게 절차를 간소화시킨 겁니다.)
2. 계정 디렉토리 소유권 및 허가권(퍼미션) 수정 작업
3. 계정 데이터 사용량 제한
4. 호스팅 홈페이지 로그인 계정 '일반회원'에서 '입주자'로 권한 상승
5. 계정 신청 게시물에 계정 세팅 완료되었다는 댓글 남기기
6. 홈페이지 하단의 입주자 주소록 메뉴로 들어가 리스트에 입주자 도메인 추가
이 정도의 작업을 제가 직접 다 해야 합니다. 계정 세팅 작업이 엔터키 한 방에 그리 간편하게 이뤄지는 것도 아닙니다.
서버 관리자의 입장을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