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설치 거 참 까다롭군요....머리가 그닥 나쁘다고 생각안하는데,.그전 cgi설치때보다 너무 참고글이 없어 혼자 삽질하다 겨우 설치 했네요..초보자들 위해서 간단히 db셋팅하는 방법 ..서버의 db호스트네임(localhost를 쓰는건줄도 모르는 사람들도 있음니다 --),포트 이런거라도..홈페이지 어딜 둘러봐도 db사용에 관한 시원한 답이 없길래요.....
물론 호스팅업체에 따라서 DB설치법이 나와있는 곳도 있습니다만~ 나와있지 않아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께선 질문글을 올리셔도 될꺼라 생각되네요... 아무리 초보분이라도 위의 메뉴얼에 적힌 숫자까지 다 그대로 기입해보고 문제가 없을경우 그냥 진행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고요~ DB호스트네임에 대해선 제로보드 메뉴얼에도 나와있듯이...
DB서버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localhost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 DB 서버의 주소는 계정제공 업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는 말처럼 그냥 적힌 대로 기본에 충실하여 적으니 문제가 되지 않더군요...
그러므로 제로보드XE가 전보다 조금(?) 무거워지다보니 그만큼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XE는 메뉴얼을 꼼꼼히 챙겨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고요~
제가 원하는 게 이겁니다. 입주자들끼리 계정 사용 방법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자는 거죠. 거의 대부분 운영자인 제게 쪽지나 비밀글로 질문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24시간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할 수 없기에 이렇게 게시판에 공개 질문하면 먼저 확인한 누군가가 답변을 달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는 셈이죠.
http://www.xpressengine.com/?mid=manual&pageid=398149
물론 호스팅업체에 따라서 DB설치법이 나와있는 곳도 있습니다만~
나와있지 않아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께선 질문글을 올리셔도 될꺼라 생각되네요...
아무리 초보분이라도 위의 메뉴얼에 적힌 숫자까지 다 그대로 기입해보고 문제가 없을경우 그냥 진행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고요~
DB호스트네임에 대해선 제로보드 메뉴얼에도 나와있듯이...
DB서버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localhost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 DB 서버의 주소는 계정제공 업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는 말처럼 그냥 적힌 대로 기본에 충실하여 적으니 문제가 되지 않더군요...
그러므로 제로보드XE가 전보다 조금(?) 무거워지다보니 그만큼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XE는 메뉴얼을 꼼꼼히 챙겨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고요~
마지막으로 제로보드XE를 초보분께서 사용하시는 경우에 대하여...
제 생각에 Xpress Engine 공식사이트에서도 제로보드XE와 관련하여 hong87님과 유사하게 생각하시는 분이 계시는 거 같아 링크걸어둡니다.
http://www.xpressengine.com/?mid=comm_freeboard&search_target=comment&search_keyword=%EB%A9%94%EB%89%B4%EC%96%BC&document_srl=17513108
그래서 hong87님의 글에 답변을 적어보았는데 만족하셨으면 좋겠네요~